[EKS] Auto Mode 로 EKS 빠르게 구성해보기

Auto Mode 로 EKS Cluster 구성

 

1. 클러스터 생성

 

Amazon Console 접속 > EKS 서비스 이동 > 클러스터 생성 클릭

 

2. 클러스터 구성 설정

  • 이름 : 원하는 클러스터 이름 설정
  • Kubernetes 버전 : 적절한 쿠버네티스 버전 선택

 

  • 클러스터 IAM 역할
    우측 ‘권장 역할 생성’ 으로 역할 생성



    클러스터 IAM 권장 역할의 권한은 ‘EKS Auto Mode’ 가 EC2 Instance, EBS Volume, EC2 LoadBalancer 등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권한이다.

  • 노드 IAM 역할

    우측 ‘권장 역할 생성’ 으로 역할 생성



    노드 IAM 권장 역할의 권한은 ‘Auto Mode’ 노드가 컨테이너의 ECR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 클러스터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권한이다.


    • VPC 및 서브넷 선택
      해당 VPC 의 DNS 옵션 2개 모두 활성화가 필요하다. (DNS 호스트 이름, DNS 확인)
      클러스터 생성을 클릭한 후 10~20분 정도 기다리면 클러스터 생성이 완료된다.

클러스터 생성 초기 화면

 

클러스터 생성 화면

 

워커노드 생성 화면

 

클러스터 정상 생성 화면

 

EKS Auto Mode 로 생성한 EC2 는 관리형 인스턴스로 직접적인 접근은 불가능하다.

 

그 대신 AWS CLI 을 통한 쿠버네티스의 리소스 조회가 가능하다.

 

1. AWS CLI 설치 및 인증 설정
https://openstack.tistory.com/149

 

[AWS] Linux 환경에 AWS CLI 설치 및 인증 방법

Linux 환경에서 AWS CLI 설치방법 1. AWS CLI 다운로드 및 설치dnf install zipcurl "https://awscli.amazonaws.com/awscli-exe-linux-x86_64.zip" -o "awscliv2.zip"unzip awscliv2.zipsudo ./aws/install 2. AWS CLI 버전 확인aws --versionaws-cli/2.30

openstack.tistory.com

 

2. kubectl 설치
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eks/latest/userguide/install-kubectl.html#linux_arm64_kubectl

 

kubectl 및 eksctl 설정 - Amazon EKS

Amazon EKS 클러스터 제어 영역과 마이너 버전이 하나 다른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1.32 kubectl 클라이언트는 Kubernetes 1.31, 1.32 및 1.33 클러스터에서 작업합니다.

docs.aws.amazon.com

 

현재 EKS 의 쿠버네티스 버전에 맞는 kubectl 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. 

 

curl -O https://s3.us-west-2.amazonaws.com/amazon-eks/1.32.7/2025-08-03/bin/linux/amd64/kubectl
chmod +x ./kubectl
mkdir -p $HOME/bin && cp ./kubectl $HOME/bin/kubectl && export PATH=$HOME/bin:$PATH

 

3. eks 의 대한 kubeconfig 설정

aws eks update-kubeconfig --name {EKS 클러스터 이름}

 

4. kubectl 명령어 확인

 

eks node 조회

kubectl get nodes

 

 

참고링크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eks/latest/userguide/automode-get-started-console.html
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eks/latest/userguide/automode-learn-instances.htm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