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. GCP 콘솔 접속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로그인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동accounts.google.com 1. 인스턴스 생성 Compute Engine 이동 VM 인스턴스 > 인스턴스 만들기 클릭 머신 설정- 인스턴스 이름- 리전 (서울)- 영역 (asia-northeast3-a) 범용 스펙 선택 만들기 클릭 2. 인스턴스 접속연결의 SSH 클릭 접속 화면 테스트 후 불필요한 인스턴스는 삭제한다.
0. NHN Cloud 웹 콘솔 접속 NHN Cloud Console 링크 NHN Cloud : 유연하게 안전하게 비즈니스의 힘이 되는 통합 클라우드 서비스안정적이고 유연한 기업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, 오픈스택 기반의 개방성과 신뢰로 고객사의 비즈니스에 힘이 되는 NHN Cloudwww.nhncloud.com 1.1 Compute 서비스 이동 Compute > Instance 이동-> 인스턴스 생성 클릭 1.2 인스턴스 OS 설정 1.3 스토리지 설정 1.4 인스턴스 설정 - 가용성 영역 설정 (kr-pub-a)- 인스턴스 이름 설정- 인스턴스 타입 설정 (t2.c1m1)- 인스턴스 수 1- 키페어 생성 후 다운로드 1.5 네트워크 설정 - VPC 연결 - 외부에서 SSH 접속을 위한 플로팅 I..
0. NCloud 웹 콘솔 접속 1. VPC 생성1.1 VPC 서비스 이동 1.2 VPC 생성 클릭 1.3 VPC 이름 및 IP 주소 범위 설정 1.4 Subnet Management 이동 1.5 Subnet 생성 클릭 1.6 Subnet 설정 - VPC 대역을 172.16.0.0/16 대역으로 하였고, 서브넷 대역은 그 중 172.16.0.0/24 대역으로 하였다.- 외부에서 서버 접근이 필요하므로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에 Y (Public) 을 선택하였다.- 일반 목적으로 사용할 서버로 용도는 "일반" 을 선택하였다. 2. NCloud 서버 생성 2.1 서버 생성 클릭 2.2 서버 이미지 선택 2.3 서버 설정- VPC: 생성한 VPC 를 선택한다- Subnet: 생성한 Sub..
Blob Storage 구성 Blob(Binary Large Object)이란?하나의 엔티티로 저장되는 바이너리 파일 모음이다. 텍스트, 이미지, 오디오, 비디오 등의 형식의 데이터를 지원한다. Blob Storage 를 사용하는 용도로 이미지, 비디오,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, 백업 및 아카이브 용도로 적합하다. Azure Blob Storage 서비스는 아래의 3개 리소스로 구성된다.계정, 컨테이너, Blob blob 접근 URLhttp://mystorageaccount.blob.core.windows.net 생성한 blob 에 접근하는 기본 엔드포인트이다. mystorageaccount 부분이 나의 스토리지 계정ID 으로 변경하면 된다. 컨테이너지금은 이해하기 쉽게 blob 이 저장되는 디렉터리..
Azure 인스턴스 생성 1. 리소스 그룹 생성 1.1 리소스 그룹 클릭 1.2 + 만들기 클릭 1.3 기본 사항- 구독 선택- 리소스 그룹 이름 설정- 지역 설정검토 + 만들기 생성확인 2. 가상 네트워크 생성 2.1 가상 네트워크 이동 2.2 + 만들기 클릭 2.3 기본설정- 리소스 그룹 선택- 가상 네트워크 이름 설정- 지역 설정 2.4 보안설정- 테스트 환경으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았다. 2.5 IP 주소 설정- 필자는 기본 IP 설정으로 진행하였다. 필요 시 사설 네트워크 대역 변경하여 사용하면 된다. 생성 확인 3. 가상 머신 생성3.1 가상 머신 이동 3.2 + 만들기 클릭- Azure 가상 머신 클릭 3.3 기본 사항- 구독 및 리소스 그룹 선택 - 가상 머신 이름,..
AWS EC2 생성 EC2 를 생성하기 전, 아래 네트워크 리소스 생성이 필요하다.- VPC- Subnet- Intergate- Route Table VPC 생성 VPC 생성 "VPC 등" 옵션을 통해, VPC 생성 시 필요한 Subnet, Route Table, IGW 를 같이 생성 하였다. VPC IP 대역은 10.0.0.0/16 으로 하였으며테스트용으로 가용 영역은 1개로 설정하였다. 마찬가지로, 테스트 환경이므로 간단하게 퍼블릭 서브넷으로 설정Subnet IP 대역은 10.0.0.0/24 으로 하였다. EC2 생성 EC2 서비스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 EC2 이름 설정 후 원하는 OS 를 선택한다. 인스턴스 유형 (컴퓨팅 스펙) 설정 후, 키 페어를 생성한다. 키 페어를 생성하게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