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Cloud] AWS EC2 만들기

 

 

AWS EC2 생성

 

EC2 를 생성하기 전, 아래 네트워크 리소스 생성이 필요하다.

- VPC

- Subnet

- Intergate

- Route Table

 

VPC 생성

 

VPC 생성

 

 

"VPC 등" 옵션을 통해, VPC 생성 시 필요한 Subnet, Route Table, IGW 를 같이 생성 하였다.

 

VPC IP 대역은 10.0.0.0/16 으로 하였으며

테스트용으로 가용 영역은 1개로 설정하였다.

 

마찬가지로, 테스트 환경이므로 간단하게 퍼블릭 서브넷으로 설정

Subnet IP 대역은 10.0.0.0/24 으로 하였다.

 

 

 

 

EC2 생성

 

 

EC2 서비스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

 

 

EC2 이름 설정 후 원하는 OS 를 선택한다.

 

 

인스턴스 유형 (컴퓨팅 스펙) 설정 후, 키 페어를 생성한다.

 

 

키 페어를 생성하게 되면,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아진다.

해당 키 페어를 분실하게 되면 EC2 접속을 못하므로 잘 보관해야 한다.

 

VPC 와 Subnet 은 생성하였던 리소스로 선택한다.

보안 그룹을 생성 및 인바운드 방화벽 규칙 "22" 허용을 확인한다.

 

 

스토리지 용량은 30 GB 로 넉넉하게 잡았다.

 

 

다음으로 오른쪽 상단에 "인스턴스 시작" 클릭하여 EC2 를 생성한다.

 

 

EC2 생성 후, 접속을 위해 퍼블릭 IP 를 할당해야 한다.

왼쪽에 탄력적 IP 을 클릭한다.

 

 

탄력적 IP 주소 할당 클릭

 

 

할당 클릭

 

생성된 퍼블릭 IP 클릭 후 탄력적 IP 주소 연결 클릭

study EC2 를 선택한 후 연결한다.

 

ssh 툴을 사용하여, 해당 IP로 접속한다.

 

로그인 ID 는 OS 마다 다르다. ex) ec2-user, ubuntu 등

해당 테스트 환경의 OS 는 Amazon Linux 으로 ID 는 ec2-user 이며, PW 는 EC2 생성 시 다운로드 받은 키 파일이다.

 

ssh 툴은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 없으며, 아래의 사진의 경우

MobaXterm 을 통한 접속 방법이다.

 

 

EC2 접속 화면

 

 

 

EC2 의 경우, 실행 시간 당 비용이 발생하며, 중지하더라도 Volume 에 대한 비용과 Public IP 비용이 발생한다.

따라서 AWS 테스트 후 불필요한 리소스는 모두 삭제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