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O
- SEO(Search Engine Optimization)은 검색 엔진에 맞게 자신의 콘텐츠를 검색 사이트 상단에 위치시키는 작업을 말한다.
- 포털 사이트에서 대부분 검색 엔진을 가지고 있는데, 검색 엔진은 크롤링(Crawling, 관련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)과 인덱싱(Indexing, 크롤링을 통해 얻은 정보를 검색 색인에 저장함)한 정보를 카테고리화하여 저장 및 표현한다.
각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'검색'을 누르면, 카테고리화된 수 많은 정보를 알고리즘에 따라 분류하여 정보를 나타냅니다.
Technical SEO
- 검색 엔진이 자사의 홈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개발자와 협업하여 홈페이지를 만든다.
- 도메인 관리 : 하나의 도메인을 여러 웹 사이트 주소로 나눠 노출하는 횟수를 늘리는 방식이다.
- '서브 도메인'방식과 '서브 폴더'방식이 있으며, 서브 도메인은 웹 페이지들을 하위 도메인으로 확장 관리한다.

구글의 경우 도메인 별로 점수를 부여해 순위를 두는데, 서브 도메인 방식의 경우 관리 도메인이 4개가 되므로, 각 도메인 별로 점수를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관리 방식은 서브 폴더 방식이 유리하다.
- 사이트 맵 : 웹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들을 목차처럼 보여주는 'xml' 형식의 파일이다. 일반적인 크롤링 과정에서 발견하지 못한 페이지도 크롤링과 인덱싱이 되기 때문에 노출 확률이 더 올라간다.
- robot.txt : 검색 엔진의 웹 크롤러(검색 로봇)에게 사이트맵의 위치를 안내하고, 특정 웹 크롤러가 웹 페이지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차단한다. 크롤러가 중복된 콘텐츠의 웹 페이지를 제한 없이 수집할 경우 검색 엔진의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.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로 작성하여,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시켜 설정한다.
Contents SEO
키워드 관리 : 콘텐츠 내 포함된 특정 키워드의 위치와 갯수 등을 검색 엔진이 평가한다. 키워드는 데이터에 기반한 것이 좋다. (롱테일 키워드 : 검색 의도가 구체적으로 표현된 3개 단어 이상의 조합 키워드 방식)
'Web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rtual DOM (0) | 2025.03.16 |
---|---|
BOM(Browser Object Model) (0) | 2025.03.16 |
DTD(Document Type Declaration) (0) | 2025.03.16 |
V8 JavaScript 해석, 실행 과정 (0) | 2025.03.16 |
DOM(Document Object Model) (0) | 2025.03.16 |